울산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폐선된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들을 정리한다.
  • 버스 형식, 번호 순으로 추가해주세요.
  • 2003년 8월 15일 있었던 버스노선 전면 개편 이후를 기준으로 합니다.
  • 예전 폐선번호를 다시 쓰게 된 노선의 경우도 포함하여 기재합니다. (예: 427, 827)
  • 번호를 유지한 채 노선이 크게 바뀐 경우에는 해당 항목에 추가해주세요.
  • 형간 전환이 되어 번호가 없어진 경우는 제외합니다. (예: 좌석버스 1124 → 일반버스 133, 좌석버스 1128 → 일반버스 108)

1. 2003년 하반기 개편 이후
1.1. 좌석버스
1.2. 직행좌석버스
1.3. 도시형버스
1.3.1. 1권역 기점
1.3.2. 2권역 기점
1.3.3. 3권역 기점
1.3.4. 4권역 기점
1.3.5. 5권역 기점
1.3.6. 7권역 기점
1.3.7. 8권역 기점
1.4. 지선버스
1.5. 마을버스



1. 2003년 하반기 개편 이후[편집]



1.1. 좌석버스[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1104꽃바위차고지율리차고지동구청 · 신전 · 태화강역 · 공업탑 · 법원 · 문수경기장15분2015. 06. 08.[1]
1114꽃바위차고지율리차고지대왕암공원ㆍ현대자동차ㆍ태화강역ㆍ공업탑ㆍ옥동ㆍ울산대15~202010. 03. 01.[2]
1715삼산월내학성공원 · 강북로(왕복) · 봉월로 · 덕하 · 남창 · 진하532010. 03. 01.[3]


1.2. 직행좌석버스[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1328율리차고지배내울산대학교 · 신복로터리 · 굴화주공 · 울산역 · 석남사8회2019. 07. 01.[4]


1.3. 도시형버스[편집]



1.3.1. 1권역 기점[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101꽃바위차고지꽃바위차고지대왕암공원 · 현대자동차 · 동천동 · 병영(회차)46~492007. 12. 22.[5]
113다운동아다운동아중앙고 · 복산동 · 병영시장 · 중구청(회차)2007. 04. 30.[6]
116꽃바위차고지롯데캐슬동구청 · 남목 · 학성공원 · 봉월로 · 공업탑20~252007. 12. 22.[7]
117꽃바위차고지태화강역동구청 · 남목 · 학성공원 · 봉월로 · 달동18~272011. 11. 01.[8]
137대안태화강역신명 · 정자 · 종합운동장 · 구 역전시장 · KBSㆍ롯데백화점1202011. 10. 24.


1.3.2. 2권역 기점[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204연암동한솔그린빌산전 · 학성공원 · 시청 · 공업탑 · 덕하 · 대복60~902007. 08. 06.
208연암동평창리비에르서동 · 병영 · 홈플러스 · 종합운동장 · 메가마트902011. 11. 01.[9]
208-1연암동평창리비에르서동 · 병영 · 홈플러스 · 종합운동장 · 메가마트902006. 7. 15. #
213연암동들꽃학습원서동 · 동여중 · 중구청 · 교육청 · 다운동30~502012. 11. 30.[10]
215연암동동원아파트병영동 · 성남동 · 시청 · 공업탑 · 덕하 · 온산공단20~302010. 03. 01.[11]


1.3.3. 3권역 기점[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303언양언양울주도서관 · 도호 · 쌍수 · 메가마트ㆍ작천정2010. 10. 31.
308-1언양봉계
313-1메가마트상차리
313-2언양상차리
315통도사동부주공삼성SDI · 삼남중학교 · 중남초등학교 · 메가마트 · 구.언양터미널7회2020. 11. 09
317천상중학교태화강역구영리 · 울산상업고등학교 · 태화동 · 공업탑 · 달동6.5회2018. 12. 22.
318-1메가마트은편삼거리
318-2메가마트은편삼거리
323-1율리차고지간월문수수영장 · 옥현주공 · 굴화주공 · 울산역 · 언양터미널10회2016. 01. 10
323-2메가마트메가마트
328언양석남사면허시험장ㆍ상북2007. 12. 22.[12]
328-1율리차고지배내문수수영장 · 옥현주공 · 굴화주공 · 울산역 · 석남사8회2018. 08. 01.[13]
348언양대리천전 · 길천 · 상북 · 향산2010. 10. 31.[14]
348울산역대곡박물관언양터미널 · 언양읍사무소 · 반곡 · 반구대입구 · 암각화박물관 · 천전8회2016. 01. 10[15]
358언양천상중학교울주도서관 · 장촌 · 반천 · 구영리통학버스2010. 03. 01.[16]
368삼남(신화)통도사울산역 · 언양여상 · 삼동 · 내외양 · 조일1762012. 05. 04.[17]
378언양미호반구대 · 두동입구2007. 04. 30.[18]


1.3.4. 4권역 기점[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403율리차고지천상중학교울산대 · 삼호 · 태화동 · 시청 · 공업탑 · 법원 · 구영리602007. 07. 10.[19]
404[20]율리차고지율리차고지울산대 · 법원 · 시청 · 교육청 · 보건소(회차) · 한전262011. 11. 01.[21]
416율리차고지롯데캐슬울산대 · 삼호 · 성광여고 · 법원 · 공업탑20~352007. 04. 30.[22]
427율리차고지평창리비에르울산대 · 법원 · 공업탑 · 여천2교 · 고속터미널302006. 02. 20.[23]
433율리차고지천상중학교울산대 · 법원 · 공업탑 · 시청 · 태화동 · 굴화주공 · 구영리602018. 03. 02.
441율리차고지대안삼호 · 태화동 · 성남동 · 학성공원 · 병영 · 무룡고개 · 정자8회2016. 12. 10.
452율리차고지주연(가대)공업탑 · 시청 · 학성공원 · 화봉동 · 호계 · 신천86~1312011. 11. 01.[24]
452율리차고지매곡울산대학교 · 우정혁신도시 · 신천 · 골드클래스 · 월드메르디앙2단지202016. 11. 09.[25]
462율리차고지농소차고지옥동 · 산업은행 · 중구청 · 병영사거리 · 울산공항10회2018. 12. 22.


1.3.5. 5권역 기점[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503동원아파트천상중학교덕신ㆍ홍명고ㆍ덕하ㆍ공업탑ㆍ법원ㆍ구영902010. 03. 01.[26]
507용당마을태화강역내광 · 외광 · 남창 · 덕하 · 두왕로 · 산업은행 · 학성공원 · 울산도서관5회2019. 07. 20.[27]
517남부복지회관태화강역울산온천 · 남창 · 덕하 · 두왕로 · 공업탑 · 달동6회2010. 10. 31.[28]
537[29]무궁화아파트삼산덕신 · 온산공단 · 덕하 · 공업탑 · 달동2010. 03. 01.[30]


1.3.6. 7권역 기점[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704태화강역영산대학교달동 · 공업탑 · 봉월로 · 태화동 · 울산대 · 대복 · 웅촌 · 서창8회2013. 11. 02.[31]
705[32]삼산덕하반구동 · 학성공원 · 강북로 · 시청 · 공업탑 · 변전소20분2011. 11. 01.[33]
707[34]태화강역태화강역공업탑 · 대공원 · 남부순환로 · 울산대(회차)2008. 05. 30.[35]
712삼산천곡우방달동 · 시청 · 학성공원 · 병영 · 화봉ㆍ호계2007. 04. 30.[36]
722태화강역천곡우방달동 · 시청 · 성남동 · 학성공원 · 병영 · 화봉 · 호계9회2014. 01. 05[37]
732태화강역천곡달동 · 시청 · 학성공원 · 서동 · 울산공항 · 호계 · 신천 · 일지리버10회2019. 01. 05.[38]
734태화강역율리차고지터미널 · 학성공원 · 성남동 · 덕하 · 개산6회2011. 01. 20.[39]


1.3.7. 8권역 기점[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808[40]성안청구성안청구향교 · 우정동 · 학성공원 · 홈플러스(회차)30~502011. 11. 01.[41]
818내황공업탑반구동 · 홈플러스 · MBC · 번영교 · 시청2005. 10. 01
827성안청구태화강역향교 · 우정동 · 시청 · 공업탑 · 달동2010. 03. 01.[42]


1.4. 지선버스[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910[43]율리차고지다운동아울산대학교 · 신복로터리 · 다운동2003년
952[44]율리차고지율리차고지대복입구 · 쌍용하나빌리지 · 한솔그린빌2005년


1.5. 마을버스[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폐선 일자
14[45]안전보건공단목살삼거리우정아이파크 · 교육청 · 유곡중학교 · 우정동 · 국민은행60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6:39:32에 나무위키 울산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24번, 401번 등에 분리 증차.[2] 사실상 1104번에 통합. 112번, 401번, 1104번, 1401번에 분리 증차.[3] 715번과 노선 통합.[4] 이 노선이 폐선되고 3월~11월 주말, 공휴일에만 운행하는 노선은 없어졌다. 또한 직행좌석버스 중 최초로 폐선된 노선이다.[5] 기존 101번은 122번으로 변경.[6] 기존 113번은 213번으로 변경.[7] 106번과 노선 통합.[8] 폐지분이 신설된 132번으로 넘어갔고, 107번이 산업은행을 경유한다. 사실상 107번에 통합.[9] 농소차고지 신설과 더불어 폐선.[10] 2012년 11월 30일 개편으로 214번으로 변경.[11] 205번과 노선 통합. 온산공단 운행은 205번이 출퇴근시간에 담당한다.[12] 807번과 노선 통합. 담당했던 배내골 지원도 한동안 807번이 이어받았다. 2011년 10월 27일 개편으로 재신설[13] 1328번으로 번호 번경 그러나 1328번도 2019년 7월 1일 폐선[14] 2014년 4월 12일에 신설된 348번과 무관하다. 2018년 9월 15일에 신설된 348번과도 무관.[15] 2018년 9월 15일에 신설된 348번과는 무관.[16] 폐선 후 언양 - 범서 구간을 칼질당하고 304번으로 변경되었다가 2016년 1월 10일에 복합월컴센터까지 연장. 사실상 노선부활.[17] 313번과 노선 통합.[18] 308번과 노선 통합. 308번이 시간대별로 미호 지원 운행을 하다가 2019년 7월에 신설된 울주05번 마실버스가 운행한다.[19] 고속도로 정류장 문제로 인해 폐선. 이후 433번이라는 별개의 노선으로 부활.[20] 연관성을 위해 427번으로 연결.[21] 427번으로 변경. 2006년 이전의 427번과는 무관.[22] 야음주공아파트 재개발로 인해 폐선. 2008년 겨울 개편 이후 415번이 율리방향 한정으로 롯데캐슬을 경유한다.[23] 417번과 노선 통합. 404번에서 변경된 현 427번과는 관계없다.[24] 농소차고지 신설과 더불어 폐선.[25] 한 번도 운행하지 못하고 폐선. 차량 출고 지연으로 운행이 지연되었지만, 사실상 우정혁신도시 구간의 수요문제 및 장현동 운행구간문제로 인하여 정상운행 불가능했다.[26] 가스 충전 문제로 신복로터리 - 천상 구간을 칼질당하고 504번으로 변경.[27] 마실버스 울주01번으로 대체.[28] 527번과 노선 통합.[29] 연관성을 위해 527번으로 연결.[30] 527번과 노선 통합. 온산공단 운행은 527번이 출퇴근시간에 담당하며, 현재의 537번과는 무관.[31] 폐지분이 신설된 101번으로 넘어가고 사실상 714번과 노선 통합. 2020년 후반기에 신설된 울주07번으로 일부 기능 부활.[32] 연관성을 위해 235번으로 연결.[33] 폐선 후 235번으로 변경되어 농소차고지로 기점이 연장되었다. 지금의 705번과는 무관.[34] 연관성을 위해 453번으로 연결.[35] 폐선 후 453번으로 변경. 지금의 707번과는 무관.[36] 722번과 노선 통합. 현재의 712번과는 무관.[37] 회차지 협소 및 적자운영으로 인해 폐선. 이후 폐지분이 257번, 432번에 증차.[38] 태화강역~농소차고지 구간을 칼질하고 949번 지선버스 노선으로 전환[39] 폐선 후 태화강역 - 덕하 구간을 칼질당하고 955번으로 변경.[40] 연관성을 위해 827번으로 연결.[41] 학성공원~중구청~성안 구간이 칼질되고 827번으로 변경. 현 808번과는 무관.[42] 824번으로 변경. 808번에서 변경된 현 827번과는 관계없다.[43] 현 910번 내용도 포함.[44] 현 952번 내용도 포함.[45] 연관성을 위해 12번으로 연결.